맨위로가기

우주 탐사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우주 탐사는 인류가 우주 공간을 탐사하고 개발하려는 활동을 의미한다. 20세기 후반 미국과 소련의 우주 개발 경쟁으로 시작되어, 인공위성 발사, 유인 우주 비행, 달 착륙 등의 성과를 거두었다. 21세기에는 국제 협력과 민간 참여가 확대되며, 달, 화성 등 다른 행성으로의 탐사와 우주 식민지화에 대한 연구가 진행되고 있다. 우주 탐사는 과학 기술 발전에 기여하고, 인류의 생존과 미래를 위한 중요한 과제로 인식되지만, 막대한 예산, 환경 문제, 우주 군사화 등에 대한 비판적 시각도 존재한다. 한국은 1990년대부터 우주 개발에 참여하여 독자적인 기술 개발을 추진하고 있으며, 국제 협력을 통해 우주 강국으로 발돋움하기 위해 노력하고 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우주 탐사 - 목성 얼음 위성 탐사선
    목성 얼음 위성 탐사선(Juice)은 유럽 우주국(ESA)의 목성 탐사선으로, 목성과 위성들의 대기, 표면, 내부 구조, 자기장을 탐사하며, 특히 가니메데의 해양층과 자기장 상호 작용을 상세히 조사하고, 유로파에서 생명체 관련 화학 물질과 얼음 지각 두께를 측정할 예정이다.
  • 우주 탐사 - STS-107
    STS-107은 2003년 1월에 발사되어 과학 실험을 수행했으나, 재진입 과정에서 열 보호막 손상으로 인해 우주왕복선이 붕괴되어 승무원 전원이 사망하는 사고가 발생했다.
  • 글로벌세계대백과를 인용한 문서/{{{분류 - 공 (악기)
    공은 금속으로 제작된 타악기로, 다양한 문화권에서 의식, 신호, 음악 연주 등에 사용되며, 형태와 용도에 따라 여러 종류로 나뉜다.
  • 글로벌세계대백과를 인용한 문서/{{{분류 - 국무회의
    국무회의는 대한민국 대통령을 의장으로, 예산, 법률안, 외교, 군사 등 국정 현안을 심의하는 중요한 기관이며, 대통령, 국무총리, 국무위원으로 구성되고, 정례회의는 매주 1회, 임시회의는 필요에 따라 소집된다.
  • 글로벌세계대백과를 인용한 문서/{{{분류2 - 공 (악기)
    공은 금속으로 제작된 타악기로, 다양한 문화권에서 의식, 신호, 음악 연주 등에 사용되며, 형태와 용도에 따라 여러 종류로 나뉜다.
  • 글로벌세계대백과를 인용한 문서/{{{분류2 - 국무회의
    국무회의는 대한민국 대통령을 의장으로, 예산, 법률안, 외교, 군사 등 국정 현안을 심의하는 중요한 기관이며, 대통령, 국무총리, 국무위원으로 구성되고, 정례회의는 매주 1회, 임시회의는 필요에 따라 소집된다.
우주 탐사
지도
개요
정의우주에 대한 조사 및 탐험 활동
목적과학적 연구
우주 자원 개발
우주 거주 가능성 탐색
인류의 미래 확장
주요 수단인공위성
우주 탐사선
유인 우주선
우주 망원경
역사
초기 단계천문학 연구에서 시작
냉전 시기 우주 경쟁 촉발
주요 사건스푸트니크 1호 발사 (1957년)
유리 가가린의 첫 우주 비행 (1961년)
아폴로 11호의 달 착륙 (1969년)
국제 우주 정거장 건설 및 운영
최근 동향화성 탐사 활발
민간 우주 개발 기업 성장
소행성 탐사 및 자원 개발 관심 증가
탐사 대상
태양계
화성
금성
목성 및 기타 행성
소행성
혜성
태양계 외항성
외계 행성
성운 및 은하
탐사 방법
로켓 발사우주선 및 탑재물 궤도 진입
무인 탐사선행성 표면 탐사 및 자료 수집
우주 환경 관측
유인 탐사우주 비행사가 직접 탐사 및 실험 수행
우주 정거장 장기 거주 및 연구
주요 기관
정부 기관NASA (미국)
ESA (유럽)
Roscosmos (러시아)
JAXA (일본)
CNSA (중국)
ISRO (인도)
민간 기업스페이스X
블루 오리진
기술
로켓 기술액체 로켓
고체 로켓
재사용 로켓 기술
우주선 기술우주선 생명 유지 장치
우주 항법 기술
우주 통신 시스템
탐사 장비센서
분석 장비
로봇
국제 협력
협력 필요성우주 개발 비용 부담 감소
기술 및 정보 공유
주요 협력 사례국제 우주 정거장
국제적인 과학 연구 프로젝트
윤리 및 미래
우주 쓰레기 문제증가하는 우주 쓰레기 위험
우주 쓰레기 제거 기술 연구
우주 자원 개발소행성 자원 개발
달 기지 건설
미래 전망화성 식민지 건설
심우주 탐사
외계 생명체 탐색
관련 항목
관련 항목우주 비행
우주 탐사선
행성 과학
천체물리학
우주 식민지
사진
우주 왕복선 아틀란티스가 국제 우주 정거장을 떠나는 모습
추가 정보
외부 링크NASA의 우주 탐사 관련 교육 자료
뉴욕 타임스의 NASA 미래 미션 관련 기사
역사 속 NASA 창설 일화
국제 우주 정거장 건설 완료 기사
NASA의 컨스텔레이션 프로그램 개요
NASA 오거스틴 위원회 보고서
아르테미스 프로그램 5주년 회고

2. 20세기 우주 탐사의 역사

페네뮌데 박물관의 V-2 로켓


세계 최초의 인공위성 스푸트니크 1호


달을 목표로 하는 새턴 V 로켓


20세기 우주 탐사는 냉전 시대 미국과 소련의 경쟁으로 시작되었으며, 인류 최초의 인공위성 발사, 유인 우주 비행, 달 착륙 등 획기적인 성과를 이루었다.

우주 탐사의 첫걸음은 제2차 세계 대전 중 나치 독일의 베르너 폰 브라운 등 과학자들이 개발한 V-2 로켓이었다.[93] 종전 후 연합군은 독일 과학자들과 V-2 로켓을 군사 및 민간 연구에 활용했다. 1946년 5월 10일 미국은 V-2 로켓을 이용해 우주 복사(cosmic radiation) 실험을 수행했고, 1947년에는 우주에서 촬영된 지구 사진과 초파리를 실은 첫 동물 실험이 이루어졌다.

19세기 쥘 베른의 소설에 등장한 포탄 우주 여행 구상은 1903년 러시아콘스탄틴 치올콥스키에 의해 액체 연료형 다단식 로켓, 인공위성, 행성 식민지화 등 구체적인 기술로 제안되었다. 1926년 미국에서는 로버트 고다드가 액체 연료 로켓 발사에 성공했고, 1923년 독일에서는 헤르만 오베르트가 로켓 추진 이론을 제안, 1927년 VfR(Verein für Raumschiffahrt)가 설립되었다.[93]

대공황으로 우주 개발 연구는 자금난을 겪었고, 1934년 우주여행협회도 해산되었다. 그러나 1929년 독일 육군 병기국은 로켓 병기 개발을 시작, 베르너 폰 브라운과 오베르트 등이 1942년 액체 연료 로켓 병기 개발에 성공했다. 제2차 세계 대전에서 V2 로켓이 실전에 사용되었고, 독일 패전 후 폰 브라운 등 로켓 기술자들은 미국에 항복했다. 소련도 독일 과학자와 로켓 기술을 흡수하여, 로켓 기술은 승전국에 계승되었다.

제2차 세계 대전 후, 미국과 소련은 냉전 하에 탄도 미사일, 인공위성 등 군사 기술 연구 경쟁, 즉 '''우주 개발 경쟁'''을 벌였다. 1955년 미국과 소련은 각각 인공위성 발사를 선언했다. 1957년 소련은 스푸트니크 1호스푸트니크 2호 발사에 성공, 미국에 기술적 우위를 과시했다. 스푸트니크 쇼크 이후, 1958년 NASA가 설립되었고, 미국은 익스플로러 1호 발사에 성공했다.

소련은 유인 우주 비행, 달·행성 탐사선 착륙 등에서 앞섰지만, 유인 달 착륙은 1969년 아폴로 11호를 통해 미국의 아폴로 계획이 먼저 달성했다.

20세기 주요 우주 탐사 사건은 다음과 같다.

연도국가사건
1957년 10월 4일 소련최초의 인공위성 스푸트니크 1호 발사
1957년 11월 3일 소련첫 우주 비행 생명체(개, 라이카)를 태운 스푸트니크 2호 발사
1958년 2월 1일 미국첫 위성 익스플로러 1호 발사
1958년 10월 1일 미국NASA 설립
1959년 1월 2일 소련최초로 태양 궤도를 공전하는 인공위성 루나 1호 발사
1960년 4월 1일 미국첫 기상위성 타이로스 1호 발사
1961년 4월 12일 소련첫 유인 우주선 보스토크 1호 발사
1961년 5월 5일 미국첫 유인 우주선 프리덤 7호 발사
1962년 2월 26일 미국존 글렌 중령, 미국 최초 지구 궤도 비행 성공
1963년 6월 16일 소련첫 여성 우주비행사 발렌티나 테레시코바, 보스토크 6호 탑승
1965년 3월 18일 소련알렉세이 레오노프, 보스크쇼드 2호에서 최초 우주 유영(약 12분) 성공
1965년 11월 프랑스자체 개발 인공위성 A1 발사
1966년 2월 3일 소련루나 9호, 최초 달 연착륙 성공
1967년 4월 23일 소련소유즈 1호 추락, 최초 우주비행사 사망 사고
1969년 7월 20일 미국아폴로 11호 닐 암스트롱, 인류 최초 달 착륙
1970년 4월 24일 중국최초의 인공위성 동방홍 1호 발사
1971년 4월 19일 소련살류트 1호 발사
1971년 10월 28일 영국블랙나이트 1호 발사
1973년 5월 14일 미국스카이랩 발사
1976년 7월 20일 미국바이킹 1호, 화성 착륙
1980년 7월 18일 인도로히니 발사
1981년 4월 12일 미국컬럼비아 우주왕복선 발사
1984년 11월 8일 미국디스커버리 우주왕복선 승무원, 최초 위성 수거 및 수리
1986년 1월 28일 미국챌린저 우주왕복선 폭발, 7명 사망
1986년 2월 20일 소련미르 발사
1990년 4월 24일 미국/ EU미 항공우주국(NASA)과 유럽우주국(ESA), 디스커버리 우주왕복선허블 우주망원경 탑재
1992년 8월 11일 대한민국우리별 1호 발사
1993년 9월 26일 대한민국우리별 2호 발사
1997년 9월 11일 미국마스 글로벌 서베이어 화성 궤도 선회
1998년 1월 29일16개국국제우주정거장 건설 계획 서명
1998년 11월 20일 러시아국제우주정거장(ISS) 모듈 자랴 발사


2. 1. 최초의 궤도 비행

최초로 성공한 궤도 비행은 1957년 10월 4일에 발사된 소련의 무인 인공위성 스푸트니크 1호(Sputnik)이다. "스푸트니크(Спутник)"란 러시아어로 "여행의 동반자"란 뜻이다.[25]

보스토크 우주선 모형


최초의 유인 우주 비행은 1961년 4월 12일 유리 가가린을 태운 보스토크 1호(Vostok)였다. 이 우주선은 지구 궤도를 한 바퀴 돌았으며, 약 1시간 48분이 걸렸다. 가가린의 비행은 전 세계에 큰 반향을 불러일으켰다. 이는 발전된 소련의 우주 프로그램을 보여주는 것이었으며, 우주 탐사의 새로운 시대, 즉 유인 우주 비행의 문을 열었다.[25]

보스토크 1호의 성공에 자극받은 미국은 앨런 셰퍼드를 태운 머큐리-레드스톤 3호(Mercury-Redstone 3)를 발사해 탄도 비행에 성공했고, 1962년 2월 20일 미국 최초의 우주비행사 존 글렌을 태운 머큐리-아틀라스 6호(Mercury-Atlas 6)를 발사해 첫 유인 궤도 비행을 실시하였다.

최초의 여성 우주 비행사는 소련의 발렌티나 테레시코바였다. 그녀는 1963년 6월 보스토크 6호에 탑승하여 지구 궤도를 48회 돌았다.

2. 2. 달 탐사와 행성 탐사

미국매리너 계획, 파이어니어 계획, 바이킹 계획, 보이저 계획 등의 우주선을 수성, 금성, 화성, 목성, 토성 등에 보내 여러 가지 새로운 사실을 알아내었다.[93] 1960년대와 1970년대에 미국은 파이어니어, 바이킹, 보이저 등의 임무를 성공시키며 행성 탐사를 많이 하였다.[93] 미국의 탐사기는 언제나 행성의 뛰어난 데이터를 입수해 왔다.[93] 1978년에 마지막 금성 탐사기 파이어니어 비너스 계획이 발사되었고, 10년 이상 지난 1989년에야 NASA의 금성 탐사기 마젤란 (우주선)이 발사되었다.[93]

아폴로 11호는 1969년 7월 20일 인류 최초로 달에 착륙하였다. 1969년부터 1972년까지 총 여섯 대의 우주선이 달 착륙에 성공했다.

1961년 베네라 1호가 최초로 금성 플라이바이를 수행했지만, 데이터를 전송한 최초의 금성 플라이바이는 1962년 마리너 2호(최근접거리 34,773km)였다. 1965년 12월 16일 파이오니어 6호가 발사되어 최초로 태양 궤도를 도는 인공위성이 되었다. 다른 행성들은 마리너 4호가 1965년 화성을, 파이오니어 10호가 1973년 목성을, 마리너 10호가 1974년 수성을, 파이오니어 11호가 1979년 토성을, 보이저 2호가 1986년 천왕성을, 보이저 2호가 1989년 해왕성을 각각 최초로 플라이바이하였다. 2015년에는 돈 (우주선)이 왜소행성 케레스 (왜소행성) 궤도에 진입하였고, 뉴 허라이즌스명왕성을 통과하였다. 이는 태양계의 여덟 개 행성, 태양, , 케레스 (왜소행성)와 명왕성(인정된 다섯 개의 왜소행성 중 두 개)의 플라이바이를 포함한다.

다른 행성에서 최소한 제한적인 표면 데이터를 전송한 최초의 행성 간 표면 임무는 1970년 베네라 7호의 착륙으로, 금성에서 23분 동안 지구로 데이터를 전송했다. 1975년 베네라 9호는 다른 행성 표면에서 이미지를 전송한 최초의 탐사선으로, 금성의 이미지를 전송했다. 1971년 마스 3호 임무는 화성에 최초로 연착륙하여 약 20초 동안 데이터를 전송했다. 이후 훨씬 더 긴 기간의 표면 임무가 달성되었는데, 1975년부터 1982년까지 6년 이상 화성 표면에서 활동한 바이킹 1호와 1982년 금성 표면에서 2시간 이상 전송한 베네라 13호(소련의 가장 긴 행성 표면 임무)가 포함된다. 금성과 화성은 인간이 무인 로봇 우주선으로 표면 임무를 수행한 지구 밖 두 개의 행성이다.

아폴로 16호의 달 착륙선 오라이온, 달 탐사차량, 그리고 우주비행사 존 영(1972)


달은 최초로 우주 탐사의 대상이 된 천체이다. 달은 우주선이 최초로 비행하고, 궤도를 돌고, 착륙한 최초의 원격 천체이며, 인간이 방문한 유일한 원격 천체이다.

1959년, 소련은 이전까지 인류가 본 적이 없었던 달의 뒷면 최초의 영상을 얻었다. 미국의 달 탐사는 1962년 레인저 4호 충돌선으로 시작되었다. 1966년부터 소련은 달에 여러 대의 착륙선을 성공적으로 배치하여 달 표면에서 직접 데이터를 얻었다. 불과 4개월 후, 서베이어 1호는 성공적인 미국의 착륙선 시리즈의 시작을 알렸다. 소련의 무인 임무는 1970년대 초 루노호트 계획에서 최초의 무인 로버를 포함하고 달 토양 샘플을 지구로 가져와 연구하는 것으로 절정을 이루었다. 이것은 최초이자 현재까지 유일한 자동화된 외계 토양 샘플의 지구 반환이었다. 여러 국가들이 주기적으로 달 궤도선을 배치하면서 달의 무인 탐사는 계속되고 있다. 중국의 창어 4호는 2019년, 창어 6호는 2024년에 세계 최초로 달의 뒷면에 착륙하여 샘플을 반환하는 데 성공했다. 인도의 찬드라얀 3호는 2023년 세계 최초로 달 남극 지역에 착륙하는 데 성공했다.

유인 달 탐사는 1968년, 인류가 최초로 외계 천체의 궤도를 돌았던 아폴로 8호 임무로 시작되었다. 1969년 아폴로 11호 임무는 인류가 최초로 다른 세계에 발을 디딘 순간을 기록했다. 유인 달 탐사는 오래 지속되지 않았다. 1972년의 아폴로 17호 임무는 여섯 번째 달 착륙이자 가장 최근의 인간 방문이었다. 아르테미스 2호는 2025년에 유인 달 우주선의 비행을 완료할 예정이며, 아르테미스 3호아폴로 17호 이후 최초의 달 착륙을 수행할 예정이며 2026년 이전에는 발사되지 않을 예정이다. 로봇 임무는 여전히 활발하게 추진되고 있다.

3. 우주 개발 연표



세계의 로켓 발사 누계는 2011년 말 현재 5,171기이다. 그중 성공한 것은 4,731기로 성공률은 91.5%이다.[94]

국가·지역·국제기구·다국적기업별 누계 로켓 발사 기수(2011년 말)
순위발사국기수성공성공률
1 소련 / 러시아2,9622,76293.2%
2 미국1,4821,31388.6%
3 ESRO / ESA21019592.9%
4다국적 기업20219395.5%
5 중화인민공화국16414990.9%
6 일본887686.4%
7 인도352571.4%
8 프랑스12975.0%
9 이스라엘8675.0%
10 영국2150.0%
11 이란22100%
12 브라질200%
13 대한민국200%



세계의 인공위성·우주선 발사 누계는 2024년 1월 4일 기준으로 17,263개이다.[95] 2020년 5월 기준으로 저궤도(LEO) 위성·우주선은 5,232개, 중궤도(MEO) 위성·우주선은 383개, 정지궤도(GEO) 위성·우주선은 880개, 기타 위성·우주선은 647개이다.[96]

4. 행성 탐사

미국매리너, 파이어니어, 바이킹, 보이저 등 여러 우주선을 수성, 금성, 화성, 목성, 토성 등으로 보내 새로운 사실들을 밝혀냈다. 1960년대1970년대에 걸쳐 활발한 행성 탐사를 진행한 미국1978년 마지막 금성 탐사선 파이어니어 비너스를 발사한 후, 10년 이상 지난 1989년에야 NASA의 금성 탐사선 마젤란을 발사했다.

1972년 3월 2일 발사된 파이어니어 10호1973년 12월 3일 목성에 접근해 사진을 전송했다. 이후 보이저 탐사가 이어졌고, 갈릴레오 호가 발사되어 목성의 대기와 위성을 자세히 조사했다. 미항공우주국은 1998년 이온 엔진 우주선 딥 스페이스 1호 무인탐사선을 발사하였다.

1973년 4월 6일 발사된 최초의 토성 탐사선 파이어니어 11호1979년 9월 1일 토성의 고리에 3500km까지 접근하여 통과했다. 1997년 10월 15일 발사된 토성 탐사선 카시니-하위헌스 호는 2004년 7월경 토성에 도착, 토성의 가장 큰 위성타이탄에서 4년간 생명체 기원 연구 등 탐사 임무를 수행했다.

금성은 행성 간 근접 통과 및 착륙 탐사선의 첫 번째 목표였으며, 가혹한 환경에도 불구하고 많은 착륙선이 보내졌다. 1961년 베네라 1호가 최초로 금성에 근접 통과했고, 1962년 매리너 2호가 데이터를 전송한 최초의 금성 근접 통과 탐사선이었다. 1967년 베네라 4호는 금성 대기권에 진입하여 직접 조사한 최초의 탐사선이 되었고, 1970년 베네라 7호는 금성 표면에 도달한 최초의 성공적인 착륙선이 되었다. 1975년 소련 궤도선 베네라 9호를 시작으로, 레이더를 사용하여 금성 표면을 매핑하는 임무가 수행되었다.

1997년 발사된 마스 패스파인더1976년 바이킹 2호 이후 21년 만에 화성에 도착했다. 소저너 로봇을 이용해 토양을 분석한 결과, 규소가 많이 함유되어 있어 큰 지각변동을 겪었음이 확인되었다. (화성 탐사에 대한 더 자세한 내용은 하위 섹션인 === 화성 탐사 === 에 있다.)

4. 1. 화성 탐사

미국매리너, 바이킹 등의 우주선을 화성 등에 보내 여러 가지 새로운 사실을 알아내었다. 1997년 무인 화성탐사선 패스파인더가 화성에 도착했는데, 이는 1976년 9월 바이킹 2호의 화성 도착 이후 21년 만의 쾌거였다. 패스파인더는 착륙 후 표면탐사로봇차인 '소저너'를 발진시켜 정밀 탐사활동을 벌였다. 소저너는 예상 수명(1주일)보다 긴 1개월 이상 화성에서 활동하면서 화성 표면의 기온 변화를 관측하고 토양을 분석했다. 그 결과, 화성 표면 토양에 의외로 많은 규소가 함유되어 있어 알려진 것보다 큰 지각변동을 겪은 것으로 확인됐다. 대기와 지표의 상호작용도 심했고, 강한 폭풍과 수증기 같은 휘발성 물질에 의해 지표 모양이 바뀌었다는 증거도 곳곳에서 포착됐다. 또 오래전 화성에 이 있었음을 보여주는 흥미로운 단서도 포착됐으나, 가장 기대를 모았던 생명체의 존재 증거는 찾지 못했다. 이때의 탐사로 9,285장이나 되는 사진 자료와 화성 표면 관측 자료가 축적되어 화성 연구에 신기원을 이룩했다.[22]

화성 탐사 로버 ''스피릿''이 촬영한 화성 표면 (2004)


화성 탐사는 소련(이후 러시아), 미국, 유럽, 일본, 인도의 우주 탐사 프로그램에서 중요한 부분을 차지해왔다. 1960년대 이후로 궤도선, 착륙선, 로버를 포함한 수십 대의 로봇 우주선이 화성으로 발사되었다. 이러한 임무들은 현재 화성의 상태에 대한 데이터를 수집하고 화성의 역사에 대한 질문에 답하는 것을 목표로 했다. 과학계에서 제기된 질문들은 붉은 행성에 대한 이해를 높이는 것뿐만 아니라 지구의 과거와 미래에 대한 통찰력을 제공할 것으로 기대된다.

화성 탐사에는 상당한 재정적 비용이 소요되었으며, 화성으로 향한 모든 우주선의 약 3분의 2가 임무를 완수하기 전에 실패했고, 일부는 시작하기도 전에 실패했다. 이러한 높은 실패율은 행성 간 여정에 수반되는 복잡성과 변수의 다양성 때문이며, 연구자들은 화성 탐사선을 먹고 사는 "대우주 악령"에 대해 농담 삼아 이야기하게 되었다.[32] 이 현상은 비공식적으로 "화성의 저주"로도 알려져 있다.[33] 화성 탐사의 전반적인 높은 실패율과는 대조적으로, 인도는 최초 시도에서 성공을 거둔 최초의 국가가 되었다. 인도의 화성 궤도선 임무(MOM)[34][35][36]는 약 45억인도 루피(약 7,300만 달러)의 총 비용으로 지금까지 수행된 가장 저렴한 행성 간 임무 중 하나이다.[37][38] 아랍 국가 중 최초로 화성 탐사 임무를 수행한 국가는 아랍에미리트연합(UAE)이다. "아말 탐사선"(Hope Probe)이라고 명명된 이 무인 탐사선은 2020년 7월 19일에 발사되어 2021년 2월 9일에 화성 궤도에 진입했다. 이 탐사선은 화성의 대기를 자세히 연구하기 위해 발사되었다.[39]

4. 2. 목성, 토성, 금성 탐사

미국매리너, 파이어니어, 바이킹, 보이저 등 여러 우주선을 수성, 금성, 화성, 목성, 토성 등으로 보내 새로운 사실들을 밝혀냈다. 1978년 마지막 금성 탐사선 파이어니어 비너스 발사 이후, 1989년 NASA의 금성 탐사선 마젤란이 발사되었다.

1972년 3월 2일 발사된 파이어니어 10호1973년 12월 3일 목성에 접근해 사진을 전송했다. 이후 보이저 탐사가 이어졌고, 갈릴레오 호가 발사되어 목성의 대기와 위성을 자세히 조사했다.

1973년 4월 6일 발사된 최초의 토성 탐사선 파이어니어 11호1979년 9월 1일 토성의 고리에 3,500 km까지 접근하여 통과했다. 1997년 10월 15일 발사된 카시니-하위헌스 호는 2004년 7월경 토성에 도착, 토성의 가장 큰 위성타이탄에서 4년간 생명체 기원 연구 등 탐사 임무를 수행했다.

미국금성 탐사는 1962년 매리너 2호로 시작되었으며, 1978년 파이어니어 비너스 1호와 2호가 표면의 대략적인 데이터를 확보했다. 마젤란은 고해상도 레이다를 사용하여 두꺼운 구름 아래 금성의 모습을 자세히 보여주는 지도를 제작했고, 중력장, 자기장, 대기 성분도 조사했다.

5. 우주 탐사 옹호

우주 탐사 옹호론은 우주 개발, 우주 이민 등 우주 탐사와 이에 필요한 활동들을 지지하는 입장이다.

우주 탐사 지지자들은 우주 탐사 연구에 정부 예산을 지출해야 하는 이유를 설명한다. 미국항공우주국(NASA)과 러시아 연방 우주국(Roscosmos)과 같은 국가 우주 탐사 기관의 연구는 정부 지출을 정당화하는 근거 중 하나이다. NASA 프로그램에 대한 경제 분석은 종종 지속적인 경제적 이점(NASA 기술 이전)을 보여주었고, 프로그램 비용의 여러 배에 달하는 수익을 창출했다.[64] 또한, 우주 탐사를 통해 다른 행성, 특히 수십억 달러 상당의 광물과 금속을 함유한 소행성에서 자원을 채굴하여 상당한 수익을 창출할 수 있다는 주장도 있다.[65]

우주비행사 버즈 올드린 표면에 처음 도착했을 때 개인적인 성찬식을 가졌다.


우주 탐사는 과학자들에게 다른 환경에서 실험을 수행하고 인류의 지식을 확장할 수 있는 기회를 제공한다.[67] 더불어, 우주 탐사 프로그램은 젊은이들이 과학 및 공학 분야를 공부하도록 고무하는 효과도 있다.[66]

아서 C. 클라크는 그의 저서 ''Interplanetary Flight''에서 인류의 우주 탐사 동기를 요약했다.[69] 그는 인류가 지구 밖 우주로 확장하거나, 문화적(그리고 결국 생물학적) 침체와 죽음을 맞이할 것이라고 주장했다.

NASA의 초기 로켓 과학자 중 한 명인 베르너 폰 브라운은 인류가 지구 너머로 이동해야 한다는 비전을 제시했다. 폰 브라운 패러다임으로 알려진 이 계획은 인류의 우주 탐사를 이끌기 위해 수립되었다. 그의 우주 탐사 비전은 21세기까지 우주 탐사 노력의 모델 역할을 했으며, NASA는 이 접근 방식을 대부분의 프로젝트에 통합했다.[70]

NASA는 우주 탐사 개념을 지지하는 공익 광고 영상을 제작하기도 했다.[71]

미국 대중은 대체로 유인 및 무인 우주 탐사 모두를 지지한다. 2003년 AP통신 여론 조사에 따르면, 미국 시민의 71%가 우주 프로그램이 "좋은 투자"라는 데 동의했고, 21%는 동의하지 않았다.[72] 우주 옹호와 우주 정책[73]은 탐험을 인간 본성의 일부로 간주한다.[74]

5. 1. 인류 생존과 미래

스티븐 호킹을 비롯한 저명한 과학자들은 인류의 생존을 위해 우주 탐사가 필수적이라고 주장한다.[97] 이들은 지구의 자원 고갈, 핵전쟁, 전염병과 같은 위협에 대비하고, 새로운 자원과 거주지를 확보하기 위해 우주 탐사가 필요하다고 본다.[97] 호킹은 "인류가 우주로 흩어져 살지 않으면, 앞으로 1000년 동안 생존할 수 없을 것이다. 단일 행성에만 모여 사는 생명체에게는 너무 많은 위험이 존재한다."라고 경고했다.[97]

5. 2. 과학 기술 발전과 일상생활 기여

우주 탐사에 필요한 기술 개발은 일상생활에도 널리 응용되고 있다. 1980년대 우주 비행사들의 눈을 보호하기 위해 개발된 필터는 선글라스에 적용되어 유해 광선을 차단하는 분광 렌즈로 사용된다.[97] 우주선 계기판 손상을 막기 위해 개발된 긁힘 방지 렌즈는 대부분의 안경과 선글라스에 사용되고 있다. 나사는 달 탐사 아폴로 계획을 진행하면서 정수기와 전자레인지도 개발했다.

이 외에도 우주 탐사 기술이 일상생활에서 쓰이는 경우는 다음과 같다.

  • 공기청정기
  • 화재경보장치
  • 알루미늄 단열 장치 (주택에 이용)
  • 카이놀 섬유 (방재 마스크에 이용)
  • 형상기억합금
  • 연료 전지 (자동차, MP3 플레이어)
  • 위성항법시스템 (GPS)
  • 자기공명영상 (MRI)
  • 컴퓨터단층촬영 (CT)


이처럼 우주 탐사는 과학 기술 발전을 촉진하고, 인류의 지식과 삶의 질을 향상시키는 데 기여한다.

5. 3. 우주 탐사 옹호 단체

다양한 단체들이 우주 탐사를 옹호하며, 우주를 주제로 한 대중 교육에 활발히 참여하고 있다. 또한, 민간 우주 항공 산업을 포함한 우주 탐사를 위한 자금 확보를 위해 정부에 로비를 하기도 한다. 이들은 회원을 모집하고, 모금 프로젝트를 진행하며, 회원과 관심 있는 사람들에게 필요한 정보를 제공한다.[97]

단체명설명
SETI Institute과학 연구와 대중 교육을 하는 시민 단체로, SETI 활동을 주도한다.
Planetary Society우주 탐사에 대한 대중 교육을 주로 하는 시민 단체이다.
National Space Society우주 개발, 이민 연구를 주로 하는 시민 단체이다.
Space Frontier Foundation자유 시장, 자본주의 관점의 우주 개발 연구를 주로 한다.
British Interplanetary Society아서 C. 클라크에 의해 1933년 창립된 가장 오래된 우주 단체이다.
Students for the Exploration and Development of Space매사추세츠 공과대학교, 프린스턴 대학교 학생 등이 창립한 단체이다.
Canadian Space Society캐나다의 다양한 우주 탐사 옹호 단체들의 상부 단체 기능을 한다.
Mars Society인류를 화성에 이민시키는 계획을 추진하는 단체이다.


6. 21세기 우주 탐사와 미래 전망

21세기 우주 탐사는 국가 주도의 우주 개발뿐만 아니라 민간 기업의 참여가 확대되면서 새로운 전기를 맞이하고 있다. 달, 화성, 소행성 등 다양한 천체를 대상으로 탐사가 진행 중이며, 기술 발전과 더불어 탐사 범위와 깊이가 확장되고 있다.

103P/하틀리 혜성 (2010)


탐사선 ''돈''(2011년)이 촬영한 소행성 베스타 (4 Vesta)


소행성 탐사는 지구 근접 천체에 대한 연구와 자원 활용 가능성을 탐색하는 중요한 분야이다. 일본 우주항공연구개발기구(JAXA)의 하야부사 탐사선은 이토카와 소행성에서 시료를 채취하여 지구로 귀환하는 데 성공했다. 이는 소행성 연구에 획기적인 전기를 마련한 사건으로 평가받는다. 니어 슈메이커 탐사선은 에로스 소행성에 착륙하여 탐사를 진행했으며, 돈 탐사선은 베스타와 케레스를 탐사하여 왜소행성과 소행성에 대한 이해를 넓혔다.

화성 탐사는 생명체 존재 가능성과 인류의 미래 거주지로서의 가능성을 탐색하는 데 초점을 맞추고 있다. 인도는 화성 궤도선 임무(MOM)를 통해 최초 시도에서 화성 궤도 진입에 성공하며 세계를 놀라게 했다. 이는 저비용으로도 행성 간 탐사가 가능하다는 것을 보여준 사례이다. 아랍에미리트(UAE)의 아말 탐사선은 화성 대기 연구를 통해 화성 환경에 대한 이해를 높이는 데 기여하고 있다.

달 탐사는 다시 활기를 띠고 있다. 중국의 창어 4호는 세계 최초로 달 뒷면에 착륙했으며, 창어 6호는 달 뒷면 샘플 채취 후 지구 귀환에 성공했다. 인도의 찬드라얀 3호는 달 남극 지역에 착륙하여 달 극지방 탐사의 새로운 장을 열었다.

약 500km 넓이의 지역을 보여주는 메신저호의 이미지 (18,000km 거리, 2008년)


수성 탐사는 유럽우주국(ESA)과 일본 우주항공연구개발기구(JAXA)의 공동 임무인 베피콜롬보호를 통해 계속 진행 중이다. 베피콜롬보는 마리너 10호와 메신저호의 탐사 결과를 바탕으로 수성의 신비를 밝혀낼 것으로 기대된다.

목성의 위성 이오에 있는 투판 파테라


목성 탐사는 주노 탐사선이 목성 궤도를 돌며 목성의 대기와 자기장, 내부 구조에 대한 새로운 정보를 제공하고 있다. 토성, 천왕성, 해왕성에 대한 탐사는 보이저 2호의 탐사 이후 새로운 탐사 계획은 없지만, 보이저 2호가 남긴 방대한 자료를 분석하여 이들 행성에 대한 이해를 넓혀가고 있다. 명왕성뉴 허라이즌스 탐사선이 근접 비행을 통해 명왕성과 그 위성들의 상세한 모습을 보여주면서 왜소행성에 대한 새로운 인식을 심어주었다. 혜성 탐사는 로제타 탐사선과 필레 착륙선이 67P/추류모프-게라시멘코 혜성에 착륙하여 혜성의 구성 성분과 구조를 연구하면서 혜성 연구에 중요한 진전을 이루었다.

티로스 1호(1960년)가 촬영한 최초의 지구 우주 사진


지구 관측 위성은 지구의 환경 변화, 자원 분포, 재해 감시 등 다양한 분야에서 활용되며 지구에 대한 이해를 높이고 있다.

6. 1. 국제 협력과 민간 참여 확대

국제 우주 정거장(ISS) 건설, 아르테미스 계획 등 국제 협력을 통한 우주 개발이 활발하게 이루어지고 있다. 스페이스X, 블루 오리진 등 민간 기업들은 재사용 로켓 개발, 우주 관광 사업 등을 통해 우주 개발의 새로운 지평을 열고 있다.[76] 민간 우주 비행 기업들과 상업용 우주 정거장은 우주 탐사의 비용과 전반적인 환경을 변화시켰으며, 가까운 미래에도 그럴 것으로 예상된다.

6. 2. 심우주 탐사와 우주 식민지화

2012년 8월 25일, ''보이저 1호''가 인류가 만든 물체로는 처음으로 태양계를 벗어나 성간 우주로 진입했다. 이 탐사선은 121 AU 지점에서 헬리오포즈를 통과하여 성간 우주에 진입했다.[29]

심우주 탐사는 우주 공간의 먼 지역 탐사와 관련된 천문학, 우주비행학, 우주 기술의 한 분야이다.[49] 우주 탐사는 유인 우주 비행(심우주 우주비행학)과 로봇 우주선을 통해 수행된다.

미래 심우주 엔진 기술의 가장 유력한 후보 중 일부에는 반물질, 핵력 및 빔 추진이 포함된다.[50] 빔 추진은 알려진 물리학과 다른 목적으로 개발되고 있는 알려진 기술을 사용하기 때문에 현재 이용 가능한 심우주 탐사에 가장 적합한 후보로 보인다.[51]

NASA 비전 미션을 위한 컨셉 아트


토성의 위성에서 발사되는 로켓의 예술적 이미지


스타샷 계획은 돌파구 이니셔티브의 연구 개발 프로젝트로, '스타칩(StarChip)'이라는 개념 증명용 빛의 돛 우주선 함대를 개발하여 4.37 광년 떨어진 알파 센타우리 항성계까지의 여정을 수행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을 목표로 한다.[52] 이 프로젝트는 2016년 유리 밀너, 스티븐 호킹, 마크 저커버그에 의해 설립되었다.[53][54]

우주 식민지화(우주 정착 및 우주 인간화라고도 함)는 특히 달이나 화성과 같은 자연 위성이나 행성에 상당한 양의 현장 자원 이용을 사용하여 지구 외부의 장소에 대한 영구적이고 자율적인(자급자족적인) 인간 거주를 의미한다.

아르테미스 계획은 미국 항공우주국(NASA), 미국의 민간 우주 탐사 기업들, 그리고 유럽우주국(ESA) 등 국제 파트너들이 수행하는 진행 중인 유인 우주 비행 프로그램이다.[55] 이 계획의 목표는 "최초의 여성과 다음 남성"을 달에 착륙시키는 것으로, 특히 달 남극 지역을 목표로 한다. 아르테미스 계획은 달에 지속 가능한 거점을 구축하고, 민간 기업들이 달 경제를 구축할 기반을 마련하며, 궁극적으로는 인류를 화성으로 보내는 장기적인 목표를 향한 다음 단계이다.

7. 한국의 우주 개발

한국은 1990년대부터 우주 개발에 본격적으로 참여해 왔다. 1992년 우리별 1호기아나 우주 센터에서 발사하며 국내 최초 인공위성 보유국이 되었고, 1993년에는 우리별 2호를 발사했다.

2001년에는 KSR-III 액체로켓 개발 과정에서 9.11 테러 이후 한미 미사일 지침 위반 논란이 있었으나, 러시아의 도움을 받아 엔진 연소 시험에 성공했다. 2022년 6월에는 누리호(KSLV-2) 발사에 성공하여, 한국은 세계 7번째로 독자적인 우주 발사체 기술을 확보한 국가가 되었다.[22]

7. 1. 한국형 발사체 개발과 달 탐사

한국은 2022년 누리호(KSLV-2) 발사 성공으로 세계 7번째로 독자적인 우주 발사체 기술을 확보한 국가가 되었다. 2030년대 달 착륙선 발사를 목표로 한국형 발사체 개량, 달 탐사 궤도선 및 착륙선 개발 등 후속 연구를 진행하고 있다. 더불어민주당은 한국형 발사체 개발과 달 탐사 계획을 적극적으로 지지하며, 우주 기술 자립과 국제 협력을 통한 우주 개발 강국 도약을 목표로 하고 있다.

7. 2. 위성 개발과 활용

인공위성은 다양한 목적으로 사용된다. 일반적인 유형으로는 군사(정찰) 및 민간 지구 관측 위성, 통신 위성, 항법 위성, 기상 위성, 연구 위성 등이 있다. 궤도를 도는 우주 정거장과 유인 우주선 또한 인공위성이다.

7. 3. 우주 산업 육성과 국제 협력

한국은 우주 산업 생태계를 조성하고, 민간 기업의 우주 개발 참여를 확대하기 위한 정책을 추진하고 있다. 국제 우주 정거장(ISS) 프로그램, 아르테미스 계획 참여 등 국제 협력을 통해 우주 탐사 역량을 강화하고 있다.

아르테미스 계획은 미국 NASA, 미국의 민간 우주 탐사 기업, 유럽우주국(ESA) 등 국제 파트너들이 수행하는 유인 우주 비행 프로그램이다.[55] 이 계획은 에 지속 가능한 거점을 구축하고, 민간 기업이 달 경제를 구축할 기반을 마련하며, 궁극적으로 인류를 화성으로 보내는 장기적인 목표를 가지고 있다.

스페이스X, 블루 오리진과 같은 민간 우주 비행 기업과 상업용 우주 정거장은 우주 탐사 비용과 전반적인 환경을 변화시켰다.

인류의 우주 참여와 대표성 문제는 우주 탐사 초기 단계부터 제기되어 왔다.[89] 비우주 진출 국가의 일부 권리는 국제 우주법을 통해 대부분 보장되었으며, 우주를 "인류 공동의 유산"으로 선포하고 있다.[89]

8. 비판적 시각과 과제

우주 개발에는 막대한 예산이 소요되는데, 이 때문에 경제적 효과에 대한 의문이 제기되기도 한다. 또한, 환경 문제와 우주 쓰레기 문제 등도 비판적인 시각으로 다루어진다. 우주 개발의 혜택이 일부 국가나 기업에만 돌아갈 수 있다는 점과 우주 공간의 군사적 이용 가능성에 대한 우려도 존재한다.

한국은 우주 개발에 있어서 후발 주자에 속하며, 기술 자립, 국제 협력, 그리고 우주 산업 육성과 같은 여러 과제를 안고 있다.

9. 결론

우주 탐사는 인류의 미래를 위한 투자이며, 과학 기술 발전, 경제 성장, 인류 생존 등 다양한 측면에서 중요한 의미를 지닌다. 한국은 중도진보적 관점에서 국제 협력을 통해 우주 개발에 적극적으로 참여하고, 지속 가능한 우주 탐사를 추구해야 한다.


  • 1944년 6월 20일, 독일의 V-2 로켓 시험 발사 (MW 18014)는 최고점 176km[22]로 카르만 한계선을 넘어선 최초의 인공 물체였다.[23]
  • 1957년 10월 4일, 소련은 최초의 인공위성 스푸트니크 1호를 발사했다.
  • 1961년 4월 12일, 유리 가가린이 탑승한 보스토크 1호는 최초의 유인 우주 비행에 성공했다.
  • 1959년, 루나 2호는 최초로 다른 천체(달)에 도달한 인공 물체이다.[26]
  • 1969년 7월 20일, 아폴로 11호는 최초로 달에 유인 착륙했다.
  • 1971년 4월 19일, 소련은 최초의 우주 정거장 살류트 1호를 발사했다.
  • 국제 우주 정거장(ISS)은 2000년부터 지속적으로 사람이 거주하고 있는 가장 크고 오래된 우주 정거장이다.
  • 2012년 8월 25일, 보이저 1호는 최초로 태양계를 벗어나 성간 우주에 진입했다.[29]
  • 아폴로 13호는 1970년 인류가 지구에서 가장 멀리 여행한 기록을 세웠다.
  • 보이저 1호는 현재 지구에서 가장 멀리 떨어진 인공 물체이다.[31]
  • 스타샷 계획은 알파 센타우리 항성계까지의 여정을 목표로 하는 연구 개발 프로젝트이다.[52]
  • 아르테미스 계획은 달에 지속 가능한 거점을 구축하고, 민간 기업의 달 경제 구축 기반을 마련하며, 궁극적으로 인류를 화성으로 보내는 것을 목표로 한다.
  • 미국항공우주국(NASA)과 러시아 연방 우주국(Roscosmos) 등의 우주 탐사 기관 연구는 정부 지출 정당화 이유 중 하나로 제시된다.

참조

[1] 웹사이트 How Space is Explored http://adc.gsfc.nasa[...] NASA
[2] 뉴스 NASA's Next Horizon in Space https://www.nytimes.[...] 2015-08-28
[3] 웹사이트 NASA Created https://www.history.[...] 2023-04-27
[4] 뉴스 After 13 Years, International Space Station Has All Its NASA Rooms http://www.space.com[...] 2011-03-09
[5] 웹사이트 Constellation Program Overview http://www.nasa.gov/[...] Constellation Program Office 2006-10
[6] 웹사이트 No to NASA: Augustine Commission Wants to More Boldly Go http://news.sciencem[...] Science 2009-10-22
[7] 웹사이트 "What We Need Now is Urgency": Looking Back at Artemis After 5 Years https://www.americas[...] 2024-03-26
[8] 서적 The History of the Telescope Dover Publications 2003
[9] 서적 Isaac Newton: Adventurer in Thought https://archive.org/[...] Cambridge University Press
[10] 서적 Spacecraft for Astronomy https://books.google[...] Infobase Publishing
[11] 웹사이트 STS-31 http://science.ksc.n[...] NASA
[12] 웹사이트 How Many Stars in the Milky Way? http://asd.gsfc.nasa[...]
[13] 뉴스 100 Billion Alien Planets Fill Our Milky Way Galaxy: Study http://www.space.com[...] 2013-01-02
[14] 학술지 The Evolution of Galaxy Number Density at ''z'' < 8 and Its Implications
[15] 뉴스 Two Trillion Galaxies, at the Very Least https://www.nytimes.[...] 2016-10-17
[16] 뉴스 Astronomers Detect Most Distant Galaxy Candidate Yet https://www.almaobse[...] 2022-04-07
[17] 학술지 A Search for H-Dropout Lyman Break Galaxies at z ∼ 12–16 2022-02-02
[18] 뉴스 Astronomers have found what may be the most distant galaxy ever seen – A galaxy called HD1 appears to be about 33.4 billion light years away, making it the most distant object ever seen – and its extreme brightness is puzzling researchers https://www.newscien[...] 2022-04-07
[19] 학술지 Are the newly-discovered z ∼ 13 drop-out sources starburst galaxies or quasars? 2022-04-07
[20] 뉴스 Astronomers discover the most distant galaxy yet - Unusually bright in ultraviolet light, HD1 may also set another cosmic record. https://astronomy.co[...] 2022-04-07
[21] 뉴스 Behold! Astronomers May Have Discovered The Most Distant Galaxy Ever – HD1 could be from just 300 million years after the Big Bang. https://www.inverse.[...] 2022-04-07
[22] 학술지 The Challenge for 2050: Cohesive Analysis of More Than One Hundred Years of Planetary Data https://www.hou.usra[...] Planetary Science Division, NASA
[23] 웹사이트 How high is space? http://www.universet[...] 2016-09-16
[24] 웹사이트 V-2 rocket (MW 18014) became the first human-made object in space on June 20, 1944 https://ourplnt.com/[...] 2022-06-20
[25] 웹사이트 First Human-Made Object to Enter Space https://www.nasa.gov[...] 2008-01-03
[26] 웹사이트 NASA on Luna 2 mission http://sse.jpl.nasa.[...] Sse.jpl.nasa.gov
[27] 웹사이트 NASA on Luna 9 mission http://sse.jpl.nasa.[...] Sse.jpl.nasa.gov
[28] 웹사이트 NASA on Luna 10 mission http://sse.jpl.nasa.[...] Sse.jpl.nasa.gov
[29] 뉴스 Voyager 1 finally crosses into interstellar space https://www.cbsnews.[...] 2013-09-12
[30] 웹사이트 Voyager – Mission Status https://voyager.jpl.[...] National Aeronautics and Space Administration
[31] 웹사이트 Voyager 1 http://www.bbc.co.uk[...]
[32] 웹사이트 Is the Great Galactic Ghoul losing his appetite? http://www.thespacer[...] 2004-09-27
[33] 뉴스 Beating the curse of Mars http://www.cnn.com/2[...]
[34] 뉴스 India becomes first Asian nation to reach Mars orbit, joins elite global space club https://www.washingt[...] 2014-09-24
[35] 뉴스 India's spacecraft reaches Mars orbit ... and history http://edition.cnn.c[...] 2014-09-24
[36] 뉴스 On a Shoestring, India Sends Orbiter to Mars on Its First Try https://www.nytimes.[...] 2014-09-24
[37] 뉴스 India Successfully Launches First Mission to Mars; PM Congratulates ISRO Team http://www.ibtimes.c[...] 2013-11-05
[38] 뉴스 India's 450-crore mission to Mars to begin today: 10 facts http://www.ndtv.com/[...] 2013-11-05
[39] 웹사이트 Hope Mars Probe http://mbrsc.ae/en/p[...] Mohammed Bin Rashid Space Centre
[40] 웹사이트 Phobos-Grunt – serious problem reported http://www.satobs.or[...] SeeSat-L 2011-11-09
[41] 웹사이트 Project Phobos-Grunt https://www.youtube.[...] YouTube 2006-08-22
[42] 웹사이트 Galileo FAQ: Navigation http://www2.jpl.nasa[...] NASA 1998-05-28
[43] 웹사이트 Delta-V in the Solar System http://www.pma.calte[...] California Institute of Technology
[44] 논문 High winds of Neptune: A possible mechanism
[45] 논문 Neptune's capture of its moon Triton in a binary-planet gravitational encounter
[46] 웹사이트 Voyager Frequently Asked Questions http://voyager.jpl.n[...] Jet Propulsion Laboratory 2003-01-14
[47] 웹사이트 Pluto mission gets green light at last http://www.space4pea[...] Space4Peace.org 2003-02-26
[48] 간행물 New Horizons Kuiper Belt Extended Mission http://pluto.jhuapl.[...] Applied Physics Laboratory 2017-12-12
[49] 웹사이트 Space and its Exploration: How Space is Explored http://adc.gsfc.nasa[...]
[50] 웹사이트 Future Spaceflight http://www.bbc.co.uk[...]
[51] 논문 Ad Astra! 1996-01
[52] 웹사이트 Breakthrough Starshot: Mission to Alpha Centauri http://www.centauri-[...] 2016-04-12
[53] 뉴스 Stephen Hawking, Mark Zuckerberg, Yuri Milner Launch $100M Space Project Called Breakthrough Starshot https://www.naturewo[...] 2016-04-14
[54] 웹사이트 Mark Zuckerberg Launches $100 Million Initiative To Send Tiny Space Probes To Explore Stars https://www.newsweek[...] 2016-04-13
[55] 웹사이트 NASA: Moon to Mars https://www.nasa.gov[...]
[56] 뉴스 NASA administrator on new Moon plan: 'We're doing this in a way that's never been done before' https://www.theverge[...] The Verge 2019-05-17
[57] 뉴스 NASA boss pleads for steady moon mission funding https://www.cbsnews.[...] 2019-07-17
[58] 뉴스 Senate appropriators advance bill funding NASA despite uncertainties about Artemis costs https://spacenews.co[...] SpaceNews 2019-09-27
[59] 웹사이트 Trump wants $1.6 billion for a moon mission and proposes to get it from college aid https://qz.com/16186[...] 2019-05-14
[60] 웹사이트 NASA reveals funding needed for Moon program, says it will be named Artemis https://arstechnica.[...] 2019-05-14
[61] 비디오 Success and Preparation https://www.youtube.[...]
[62] 웹사이트 Forward Progress on Gateway, Humanity's First Lunar Space Station https://scitechdaily[...] 2024-05-13
[63] 웹사이트 Intuitive Machines lands on the moon https://spacenews.co[...] 2024-02-22
[64] 논문 Measuring the Economic Returns from Successful NASA Life Sciences Technology Transfers
[65] 논문 Let's mine asteroids – for science and profit
[66] 웹사이트 Is Space Exploration Worth the Cost? A Freakonomics Quorum http://freakonomics.[...] freakonomics.com 2008-01-11
[67] 논문 Scientific objectives of the scientific equipment of the landing platform of the ExoMars-2018 mission 2015-12
[68] 뉴스 Colonies in space may be only hope, says Hawking https://www.telegrap[...] 2001-10-15
[69] 서적 Interplanetary Flight – An Introduction to Astronautics Harper & Brothers
[70] 논문 Robots and humans in space flight: Technology, evolution, and interplanetary travel
[71] 웹사이트 NASA "Reach" Public Service Announcement for Space Exploration https://www.youtube.[...] NASA 2012-03-31
[72] 웹사이트 Origin of Human Life – USA Today/Gallup Poll http://www.pollingre[...] Pollingreport.com 2007-07-03
[73] 웹사이트 No One Should 'Colonize' Space https://www.theatlan[...] 2020-09-17
[74] 웹사이트 Destiny in Space http://www.anthropol[...] American Anthropological Association 2019-07-12
[75] 서적 Looking Backward, Looking Forward: Forty Years of U.S. Human Spaceflight 2002
[76] 서적 Looking Backward, Looking Forward: Forty Years of U.S. Human Spaceflight 2002
[77] 웹사이트 NASA Astrobiology http://astrobiology.[...] Astrobiology.arc.nasa.gov
[78] 웹사이트 X http://www.aleph.se/[...] Aleph.se 2000-03-11
[79] 웹사이트 Fears and dreads http://www.worldwide[...] World Wide Words 1997-05-31
[80] 웹사이트 Scientists will look for alien life, but Where and How? http://www.itwire.co[...] iTWire 2007-04-27
[81] 웹사이트 Astrobiology http://biocab.org/As[...] Biocab.org
[82] 웹사이트 Launching the Alien Debates http://www.astrobio.[...] 2006-12-08
[83] 웹사이트 Astrobiology: the quest for extraterrestrial life http://spacechronolo[...] Spacechronology.com 2010-09-29
[84] 논문 Health challenges including behavioral problems in long-duration spaceflight 2019
[85] 웹사이트 The Human Body in Space http://www.nasa.gov/[...] 2016-03-30
[86] 웹사이트 5 Hazards of Human Spaceflight http://www.nasa.gov/[...] 2018-03-27
[87] 보도자료 Global Exploration Strategy and Lunar Architecture http://www.nasa.gov/[...] NASA 2006-12-04
[88] 웹사이트 Property Rights in Space http://www.thenewatl[...] 2012
[89] 잡지 Is Spaceflight Colonialism? https://www.thenatio[...] 2019-07-19
[90] 웹사이트 Website of the IAU100 ''Inclusive Astronomy'' project https://www.inclusiv[...]
[91] 웹사이트 Female Astronauts Face Discrimination from Space Radiation Concerns, Astronauts Say http://www.space.com[...] Purch 2013-08-27
[92] 잡지 Female astronauts: How performance products like space suits and bras are designed to pave the way for women's accomplishments https://theconversat[...] 2019-04-05
[93] 웹사이트 科学者と読み解く、「月世界」が描く夢の先 https://fanfun.jaxa.[...]
[94] 웹사이트 日本の宇宙探検 https://iss.jaxa.jp/[...] 14ページ 人類が宇宙へ打ち上げたロケットたち. 宇宙航空研究開発機構(JAXA)有人宇宙ミッション検討のミエル化チーム 2012-03-08
[95] 웹사이트 Cumulative number of objects launched into space https://ourworldinda[...]
[96] 웹사이트 Satellites Number by Country https://web.archive.[...]
[97] 뉴스 Colonies in space may be only hope, says Hawking http://www.telegraph[...] telegraph.co.uk 2001-10-15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